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보조배터리·텀블러·폐건전지 분리배출|생활폐기물 버리는 방법·과태료·분리배출kr 총정리

by 진띠 2025. 9. 7.
반응형

 

생활폐기물 분리배출 방법

지역마다 다른 분리배출 기준, 헷갈리면 ‘분리배출.kr’에서 내 지역 기준을 바로 확인하세요!

보조배터리·종이팩·형광등·의류 등 품목별 배출 요령과 시군구별 요일·장소·과태료 기준까지 2025년 9월 최신 정보로 정리했습니다.

보조배터리·텀블러·폐건전지·양파망 어떻게 버려야 할까?!

지역별 생활폐기물 배출 기준부터 과태료 부과 금액·분리배출kr 누리집 이용법까지!!

  • 투명 페트병: 내용물 비우고 헹군 뒤 라벨 제거·압착 → 투명 페트병 전용으로(유색 페트와 분리)
  • 종이팩(우유·주스팩): 종이류와 섞지 말고 전용 수거함 또는 지정 회수처
  • 형광등·전지: 일반배출 금지 → 전용 수거함 이용
  • 의류·침구: 젖지 않게 의류수거함으로(재활용 불가품은 지자체 지침 확인)
  • 음식물쓰레기: 물기 제거·비닐 제거 후 전용 봉투/용기, 지역별 금지 품목 확인
  • 지역별 차이: 배출 요일·시간·장소·과태료 기준이 다름 → 분리배출.kr에서 주소 기반 조회

분리배출 방법(전국 공통 가이드 + 지역별 차이)

투명 페트병 분리는 전국 의무이며, 음료·생수 등 음용 페트만 해당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종이팩은 일반 종이류와 섞으면 재활용 품질이 떨어져 전용함 또는 별도 회수 체계 이용을 권장합니다.
전구·형광등·폐건전지·보조배터리는 전용 수거함으로. 깨진 조명류는 안전포장 후 지자체 지침(특수규격 마대 등)을 따릅니다.

생활폐기물 배출방법


의류·침구는 전용수거함 배출이 원칙이나, 상태·재질별로 예외가 있어 시군구 안내 확인이 필요합니다.
음식물쓰레기는 껍질·씨·뼈 등 금지 품목이 지역별로 세부 차이가 존재합니다.
※ 세부 기준·과태료·요일·장소는 분리배출kr에서 주소로 조회하세요.

지역별로 분리배출 특히 다른 항목 

항목 전국 공통 원칙 지역별로 달라지는 포인트
투명 페트병 비우고·헹구고·라벨 제거·압착 후 투명 페트 전용 배출 요일/시간 운영, 공동주택·단독주택 수거 방식 차이
종이팩(우유/주스팩) 종이와 혼합 금지, 전용 수거함/회수처 이용 전용함 설치 유무, 주민센터 수거·포인트제 운영 등
형광등·전지 일반배출 금지, 전용 수거함으로 LED 일부 품목의 분리배출 여부, 깨진 제품 처리 방식
의류·신발·가방 젖지 않게 의류수거함 배출 권장 오염·파손·솜 이불 등 재활용 불가품 처리 기준
유리·도자기(깨진 잔 포함) 안전 포장 후 일반/특수마대 등 지침 준수 특수규격 마대 사용 의무, 대형폐기물 분류 여부
비닐·랩 이물질 제거 시 재활용, 오염 심하면 일반배출 오염 기준, 폐비닐 요일 운영, 전용봉투 의무 여부
음식물쓰레기 물기 제거·비닐 제거·전용 봉투/용기 사용 껍질/씨/뼈 등 금지 품목 세부 기준, RFID/스티커제 등 수수료 체계

생활폐기물 배출방법

헷갈리는 품목, 이렇게 구분하세요

① 투명 페트병 vs 유색 페트병 — 음용 투명 페트만 ‘투명 페트 전용’으로, 색 페트·기름병 등은 일반 플라스틱류로.

② 종이팩 vs 일반 종이 — 종이팩은 알루미늄/폴리에틸렌 코팅이 많아 종이와 혼합 금지, 전용함/회수처로.

③ 형광등/전지 vs 일반쓰레기 — 전용수거함 필수. 깨진 조명류는 안전 포장 후 지자체 지침(특수규격 마대 등) 준수.

④ 의류·침구 — 젖은/심하게 오염된 섬유는 재활용 불가일 수 있음. 상태·재질별 지역 지침 확인.

⑤ CD·DVD·세라믹 — 재활용 곤란 품목은 일반/불연성 마대 등으로, 대형 여부는 지자체 기준 따름.

지역별 사례로 보는 차이점 (서울·관악·성동 등)

  • 서울시 환경정책국의 최근 안내: 의류·형광등·발포수지 등 품목별 세부 배출 예시 및 재활용/일반/대형 구분을 갱신 공지. 서울시 공식 안내
  • 관악구: 음식물쓰레기 수분 제거·전용용기 배출, 소형감량기 보조금 등 감량정책 병행. 관악구 생활쓰레기 배출
  • 성동구: 폐형광등·건전지 전용수거함 운영, 깨진 조명류는 특수규격 마대 지침. 성동구 공식 안내

생활폐기물 분리배출 누리집 개설 

환경부는 2025년 9월 6일 제17회 자원순환의 날을 맞아 생활폐기물 분리배출 누리집을 개설했습니다. 무색페트병, 텀블러, 보조배터리, 고무장갑, 그물무늬 스티로폼 용기총 730개 품목의 분리배출 방법과 이후 재활용품 수거·처리 과정까지 한 번에 안내합니다.

생활폐기물 배출방법

특히 내 위치 기반으로 우리 동네(시군구) 배출 방법과 가까운 전지수거함·의류수거함·재활용품 수거장까지 지도에서 확인할 수 있고, 궁금한 품목은 Q&A 검색으로 쉽게 찾아볼 수 있습니다.

생활폐기물 배출방법

PC·스마트폰·노트북 어디서든 화면 크기에 맞게 최적화되는 반응형 웹이며, 시각장애인도 쉽게 이용할 수 있도록 웹 접근성 음성 안내 기술을 도입했습니다.

생활폐기물 배출방법

환경부는 앞으로도 국민 요청 품목·배출장소 정보를 꾸준히 보강해 누리집을 지속적으로 발전시킬 계획이라고 밝혔습니다.

 

분리배출 위반행위 및 과태료 부과금액 (분리배출kr 기준)

위반행위 1차 위반
(만원)
2차 위반
(만원)
3차 이상 위반
(만원)
단독주택·연립주택·아파트 등 주거생활과 관련하여 폐기물을 배출한 경우 10 20 30
동일 건물 또는 일정 토지 내에서 해당 건물에 입주한 경우 또는 토지를 이용하는 자가 개별적으로 폐기물을 배출한 경우
(사업활동과 관련하여 배출한 경우로 한정)
20 30 50
동일 건물 또는 일정 토지 내에서 해당 건물에 입주한 경우 또는 토지를 이용하는 자가 폐기물을 배출하여 공동으로 관리한 경우
(사업활동과 관련하여 배출한 경우로 한정)
50 70 100

※ 과태료 단위: 만원 (출처: 분리배출kr)

생활폐기물 배출방법

자주 묻는 질문(FAQ)

Q. 투명 페트병은 모든 페트가 해당하나요?
아니요. 보통 음용 투명 페트가 대상입니다. 기름·세제 용기, 유색 페트는 일반 플라스틱류로 분리하세요. (세부는 내 지역 지침 참조)

 

Q. 종이팩은 왜 종이류와 섞으면 안 되나요?
코팅(알루미늄·폴리에틸렌)으로 인해 제지 공정이 달라 고품질 재활용을 위해 전용 수거체계가 필요합니다.

생활폐기물 배출방법

Q. 깨진 형광등/유리는 어떻게 버리나요?
안전포장 후 지자체 지침(특수규격 마대 등)을 따릅니다. 형광등·전지는 전용 수거함 이용이 원칙입니다.

 

Q. 의류·침구가 젖었어요. 수거함 배출 가능한가요?
젖거나 심하게 오염된 섬유는 재활용이 어려울 수 있어 일반/대형 분류 지침을 확인하세요.

 

Q. 과태료 기준이 궁금해요.
무단투기·혼합배출 등 위반 시 과태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금액·항목은 지자체 조례로 달라 분리배출.kr→조례에서 확인하세요.

오늘 배출할 쓰레기가 헷갈린다면, 분리배출.kr에서 주소로 실시간 지역 기준을 먼저 확인하세요. 작은 수고가 재활용 품질을 올리고, 처리 비용과 환경 부담을 함께 줄입니다.

ⓒ 작성자, 무단 도용·재편집 금지

함께 보면 좋은 글

 

수원시 대형폐기물 인터넷 신고 방법 총정리 (빼기 앱·스티커 출력·폐가전 무료 수거까지)

2025년 수원시 대형폐기물, 스마트하게 인터넷으로 신고하세요!가구·가전 등 대형폐기물, '빼기' 앱 또는 수원시 공식 웹사이트에서 간편 신고·스티커 출력·배출 예약까지. 무상 폐가전 방문수

jintti.com

 

수원시 폐가전 무료 수거 서비스 신청방법 (냉장고·세탁기·TV도 무상 방문 수거·전화번호 )

수원시 폐가전제품, 이제 무료로 수거 신청하세요!냉장고, 세탁기, 전자레인지부터 밥솥, 선풍기까지! 수원시민이라면 누구나 폐가전제품을 집 앞까지 무료 수거 신청할 수 있습니다.수원시 폐

jintti.com

 

네스프레소 알루미늄 캡슐, 우체국에서 회수!|우편회수봉투 신청부터 회수 방법까지 완벽 정리

네스프레소 커피캡슐, 이제 우체국에서 집까지 회수!이제 사용한 네스프레소 캡슐을 버리기 위해 매장까지 갈 필요가 없습니다. 우체국 방문접수 또는 집 앞 수거로 손쉽게 재활용에 참여해보

jintti.com

 

유통기한 지난 약, 이렇게 버리세요|폐의약품 분리배출 방법(알약·연고·안약 버리는 방법까지

유통기한 지난 폐의약품, 일반 쓰레기로 버려도 될까요?올바르지 않은 폐의약품 처리는 환경을 해치고 건강도 위협합니다.약을 안전하게 버리는 습관, 지금부터 시작하세요.왜 폐의약품 분리배

jintti.com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