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부산과 양산을 품은 도심 속 생태 명소 금정산이 ‘국립공원’으로 새롭게 탄생했습니다!
2025년 10월 31일, 대한민국 24번째 국립공원으로 지정된 금정산의 최신 정보와 탐방 팁을 한눈에 정리했습니다.
금정산 국립공원 지정 배경과 주요 가치
📍 지정 개요
- 금정산은 대한민국의 24번째 국립공원으로 공식 지정되었습니다.
- 지정 면적은 약 66.859㎢로, 약 78%가 부산광역시 6개 자치구에, 약 22%가 경상남도 양산시에 걸쳐 있습니다.
- 보호지역이 아니던 곳이 국립공원으로 지정된 사례는 1987년 소백산 이후 약 37년 만입니다.

🌿 지정의 의미와 가치
- 낙동정맥의 핵심 축으로서 도심-산림 생태 연결성을 높이는 거점입니다.
- 멸종위기종 14종 포함 약 1,782종의 야생생물, 자연경관 71개 지점, 문화자원 127점이 보고되었습니다.
- 도심 접근성이 뛰어나 자연·역사·문화가 융합된 도시형 생태관광에 최적의 조건을 갖췄습니다.
금정산 탐방 정보 & 추천 루트
🧭 기본 정보 요약
- 위치: 부산광역시(6개 자치구) · 경상남도 양산시
- 면적: 약 66.9㎢
- 특징: 도심과 맞닿은 산림 휴식·생태 학습 공간

🥾 추천 탐방 루트 & 팁
- 입문 코스: 백양산 능선 → 금정산 정상. 바다와 시가지가 함께 보이는 시원한 조망.
- 역사·문화 코스: 금정산성 성벽 ~ 고찰 연계 루트. 산행+문화유산 감상 동시 만족.
- 자연관찰 코스: 새벽·이른 오전 시간대 탐방 추천(조용한 평일 가점). 야생생물 관찰 확률 ↑.
⚠️ 탐방 시 유의사항
- 국립공원 지정 직후 단계라 일부 탐방로 정비·편의시설 확충이 순차 진행됩니다.
- 사유지 비율(약 75%)이 높아 구간별 매입·정비 과정이 있을 수 있습니다.
- 성수기 혼잡 대비를 위해 탐방로 개방·주차 현황을 사전 확인하세요.
최근 변화 & 앞으로의 전망
📈 최근 변화
- 2025년 10월 31일 국립공원 지정 최종 의결.
- 연간 탐방객 약 312만 명 수준 → 지정 후 추가 증가가 전망됩니다.
🛠️ 향후 계획(예상)
- 편의 인프라 확충: 탐방로·주차장·공중화장실 등 단계적 보강.
- 자연·문화 보전: 멸종위기종 보호·서식지 관리, 산불 감시 고도화, 문화유산 보존.
- 연계 관광: 부산 해양 관광지·양산권과의 도시형 생태투어 확장 기대.
교통 및 주차 정보
🚗 자가용 이용 시
- 금정산 주요 진입로는 범어사 방면, 온천천 방면, 회동수원지 방면 등이 있습니다.
- 네비게이션 검색은 “금정산 국립공원” 또는 “범어사 주차장”으로 설정하면 가장 편리합니다.
- 부산 시내 주요 도로(만덕대로, 금정로, 동래로 등)와 바로 연결되어 차량 접근성이 좋습니다.
- 산행 출발 전 탐방로별 주차 가능 위치를 확인하세요. 일부 탐방구간은 주차장이 협소하거나 유료 운영됩니다.
🅿️ 주요 주차장 안내
- 범어사 제1주차장 — 200여 대 수용, 유료(1시간 1,000원 기준). 범어사 및 북문 탐방로 접근 용이.
- 금정산성 동문 주차장 — 정상부 접근 최단 거리, 오전 일찍 만차되는 편.
- 회동수원지 주차장 — 수변 트레킹 코스 진입 시 이용, 무료 개방 구간 다수.
- 금강공원 주차장 — 온천천 방면 탐방로 출발점, 지하철과 연계 가능.

🚉 대중교통 이용 시
- 지하철: 부산 1호선 범어사역(5번 출구) 하차 후 도보 약 15~20분 → 금정산 탐방로 입구 도착.
- 버스:
- 금정산성 방면 — 203번, 90번, 307번(금정산성입구 하차)
- 범어사 방면 — 80번, 301번, 148번(범어사 입구 하차)
- 온천천 방면 — 100-1번, 144번(금강공원 정류장 하차)
 
- 주말에는 금정산성-범어사 구간을 오가는 마을버스 순환 노선도 있습니다.
ℹ️ 교통·탐방 팁
- 주말 오전 9시~11시 사이엔 범어사 주차장 혼잡이 심해요. 금정산성 방면이나 회동수원지 방면으로 분산 추천.
- 지하철 1호선과 버스를 연계하면 도심 접근이 편리하며, 하산 후 금정구 온천천 카페거리 이동도 좋습니다.
- 탐방 전 부산 대중교통 앱(부산버스/부산지하철)으로 실시간 운행정보를 확인하세요.
추천 포토존 & 계절별 코스
📸 금정산 대표 포토존
- 금정산성 북문 전망대 — 금정산의 상징 포인트. 부산 도심과 바다를 한눈에 조망할 수 있어 일출·야경 명소로 유명합니다.
- 금정산성 동문~남문 구간 — 성벽을 따라 이어지는 능선길로, 바위 능선과 산성벽이 함께 담기는 인생샷 포인트.
- 범어사 경내 전각 — 사찰의 고즈넉한 분위기와 배경의 산세가 어우러져 사계절 모두 사진 명당입니다.
- 회동수원지 트레킹길 — 수면 위 반영되는 금정산 능선이 인상적인 포인트. 봄철 벚꽃 시즌에는 ‘물 위 산책길’로 불립니다.
- 금강공원 케이블카 상부정류장 — 케이블카에서 내려다보는 동래·연산 일대 시가지와 금정산 봉우리 라인이 장관입니다.
🌸 봄 코스 — 벚꽃과 사찰의 조화
- 범어사 입구 → 금정산성 남문 코스 — 초입의 벚꽃길과 고찰이 어우러진 대표 봄철 코스.
- 4월 초~중순에는 범어사 진입로 벚꽃터널이 절정을 이루며, 가벼운 왕복 2시간 코스로 가족 탐방에 적합합니다.

☀️ 여름 코스 — 숲속 피서형 탐방
- 회동수원지 순환 트레킹길 — 울창한 숲 그늘과 수면 반영 덕분에 여름철 더위를 피하기 좋은 코스.
- 금정산성 북문~동문 능선은 바람이 시원해 여름에도 쾌적한 산책이 가능합니다.
🍁 가을 코스 — 단풍 명소 중심
- 금정산성 남문 → 북문 단풍길 — 10월 중순~11월 초 단풍 절정기에는 금빛 산성길로 변합니다.
- 금강공원~범어사 구간도 붉은 단풍과 사찰의 조화가 아름다워 사진 촬영지로 인기가 높습니다.
- 드론 촬영 시 사전 허가가 필요하며, 국립공원 내 일부 구간은 촬영 제한이 있습니다.


❄️ 겨울 코스 — 설경과 일출 포인트
- 금정산 정상(고당봉) 일출 코스 — 새벽 산행 시 부산항과 해운대까지 붉게 물드는 일출 장면 감상 가능.
- 금정산성 북문~동문 능선에는 얇게 쌓인 눈이 반사되어 ‘부산 설산’ 분위기를 연출합니다.
- 겨울철 탐방은 결빙 구간이 많아 아이젠 착용 및 새벽 기온 확인이 필수입니다.
📍 촬영 팁
- 광각 렌즈(24mm 이하)로 금정산성 전경을 담으면 스케일이 강조됩니다.
- 일출·일몰 시간대는 북문·고당봉이, 야경은 금강공원 상부가 최적 포인트입니다.
- 사찰 구역 내 드론 촬영은 금지, 삼각대 촬영은 방문객 혼잡 시간대를 피해 주세요.
방문 전 알아두면 좋은 팁
🕒 운영시간 & 탐방로 개방
- 금정산 국립공원은 24시간 개방되어 있으나, 일출 전·일몰 후에는 안전상 탐방을 자제하는 것이 좋습니다.
- 공식 탐방안내센터는 오전 9시~오후 6시 운영(계절별 변동 가능).
- 일부 등산로는 산불조심기간(봄·가을)에 임시 통제될 수 있으니, 방문 전 국립공원공단 공지사항 확인 필수입니다.

🌤️ 기상 및 계절별 주의사항
- 봄철(3~5월): 황사·미세먼지 영향이 잦으므로, 등산용 마스크와 충분한 수분 섭취를 권장합니다.
- 여름철(6~8월): 갑작스러운 소나기 대비를 위해 방수재킷과 방충제를 준비하세요.
- 가을철(9~11월): 단풍철 주말엔 주차 혼잡 심화 → 대중교통 이용을 적극 권장.
- 겨울철(12~2월): 결빙 구간 다수 발생 → 아이젠·보온장비 필수, 일몰 전 하산 권장.


🎒 준비물 & 복장 팁
- 필수품: 등산화, 방수 재킷, 헤드랜턴, 보조 배터리, 간식 및 생수(1L 이상).
- 초여름~초가을은 모기·진드기 활동이 많아 긴바지·밝은색 복장을 권장합니다.
- 고당봉 정상부는 바람이 강하므로, 계절과 관계없이 바람막이를 준비하세요.
📱 유용한 정보
- 국립공원공단 공식앱 — 실시간 탐방로 상황, 기상정보, 입산통제 알림 제공.
- 부산시 교통정보 서비스 — 실시간 버스·주차장 혼잡도 확인 가능.
- 부산 날씨 확인: 기상청 모바일 웹 또는 ‘웨더아이 부산’ 검색.
- 탐방 전날 비가 내렸다면, 회동수원지 주변 트레킹길은 미끄러움 주의가 필요합니다.
자주 묻는 질문(FAQ)
Q1. 왜 ‘도심형 국립공원’이라고 하나요?
A. 부산 여러 자치구와 양산에 걸친 산림으로 도심 접근성이 뛰어난 자연공원이기 때문입니다.
Q2. 탐방로와 주차 같은 편의시설은 충분한가요?
A. 기존 시설은 운영 중이며, 지정 후 순차적으로 추가 확충이 진행될 예정입니다. 방문 전 최신 공지 확인을 권장합니다.
Q3. 멸종위기종 보호는 어떻게 이뤄지나요?
A. 지정 근거 조사로 확인된 멸종위기종 14종 등 산림 생태를 대상으로 보전·복원 사업이 강화됩니다.
맺음말
금정산 국립공원 지정은 명칭 변경을 넘어, 도심과 산림이 공존하는 지속가능한 녹색자산의 출발점입니다.
올해는 정비 소식과 함께 변화가 빨라질 시기. 혼잡 시간대를 피하고, 공지된 탐방로를 따라 책임 있는 생태관광을 실천해 보세요.
함께 보면 좋은 글
서울 남산 하늘숲길 개방|서울 용산 무장애길·전망대·소월정원·산책코스·위치도·가는 길
도심 속 힐링과 접근성 모두 갖춘 새 산책길 – 남산 하늘숲길 개통!서울의 대표 명산 남산에, 보행약자·유모차·휠체어까지 누구나 걷기 좋은 ‘무장애길(무장애 산책로)’이 새로 생겼습니다.
jintti.com
국립수목원 광릉숲 정원벨트 전면 개방|3.2km 데크길·가을 단풍 절정 시기·주차·가는 길
국립수목원 광릉숲 ‘정원벨트’ 3.2km 데크길, 2025년 10월 21일 전면 개방7월 극한호우로 단절됐던 봉선사천 데크길 복구 완료. 가을 단풍 절정기(10.29~10.31)에 맞춰 안전하게 산책하세요. 국립수목
jintti.com
서울대 안양수목원 58년만에 전면 개방|11월 개방일·관악수목원 이용안내·주차요금·가는길 총
58년 만에 전면 개방되는 ‘서울대 안양수목원’, 11월 시민 품으로1967년 조성된 서울대 관악수목원이 58년 만에 ‘서울대 안양수목원’으로 명칭을 변경하고, 오는 11월 전면 개방을 앞두고 있습
jintti.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