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부산 연쇄 싱크홀 사고, 도심 지하 안전에 경고등
잇따른 도심 싱크홀 사고에 시민 불안이 커지고 있습니다. 서울 애오개역, 부산 사상구 연쇄 싱크홀
발생 사고 원인과 대응, 안전 대책까지 정리했습니다.
서울 애오개역 인근 싱크홀 사고
2025년 4월 13일 오전 8시 50분쯤에, 서울 마포구 공덕동 애오개역 인근 도로에서 싱크홀이 발생했습니다. 인도와 차도 경계 부근 약 1.5m 크기의 지반이 꺼지며 도로 일대가 통제되었으며, 다행히 인명 피해는 없었습니다. 이날 현장에선 싱크홀 바로 아래 지점을 파내자 지름 60cm 가량의 하수관이 균열이 간 상태로 발견되기도 했습니다. 다만 해당 균열이 싱크홀의 원인인지는 추가 조사가 필요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 위치: 서울 마포구 애오개역 5번 출구 인근
- 시간: 2025년 4월 13일 오전 8시경
- 규모: 폭 1.5m, 깊이 1.3m, 지름 40~50cm
- 피해: 인명 피해 없음, 도로 일시 통제
- 원인 추정: 노후 하수관 누수 가능성
현재 서울시는 긴급 복구 작업을 진행 중이며, 지하 구조물 정밀 조사 및 인근 하수관로 교체 계획을 검토하고 있습니다. 또한 서울시는 현재 3곳의 도시철도 건설 구간(총연장 18.5㎞)과 주변 도로를 대상으로 지표투과레이더(GPR)를 활용한 탐사에 나섰으며, 지반변화 계측 장비도 도입할 계획입니다. 한병용 서울시 재난안전실장은 “유사 사고를 방지하기 위해 실시간 계측과 조기경보 체계를 강화하겠다”고 밝혔습니다.
부산 사상구 싱크홀 사고
같은 날 오전 5시 40분쯤, 부산 사상구 학장동 도시철도 사상~하단선 공사현장 인근에서도 대형 싱크홀이 발생했습니다. 가로 5m, 세로 3m, 깊이 4.5m 규모의 대형 도로 함몰로, 인근 차량 및 보행자 통행이 전면 차단되었습니다.
사고 발생 약 40분 전, “싱크홀이 생길 것 같다”는 시민 신고가 경찰에 접수되었고, 이를 전달받은 사상구청 직원들이 즉시 현장에 출동해 도로 통제와 방호벽 설치 등 긴급 안전 조치를 진행하던 중 실제로 싱크홀이 발생했습니다. 사상구 관계자는 “경찰과 함께 15분 만에 현장에 도착해 4개 차선을 통제하고 있었다”며 “조치 도중 싱크홀이 발생해 즉각 추가 대응에 나섰다”고 밝혔습니다.
해당 구간은 부산 도시철도 사상~하단선(5호선)의 굴착 구간으로, 총연장 6.9km(7개 정거장) 중 한 곳입니다. 이 노선은 2026년 말 개통을 목표로 하고 있으나, 지난해 9월 트럭 2대가 추락한 대형 싱크홀 사고를 포함해 현재까지 6건 이상의 지반침하 사고가 발생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부산시는 당시 폭우와 차수 공법 부실을 원인으로 지목하며 2025년 2월에 관련 조사 결과를 발표했지만, 불과 두 달 만에 다시 싱크홀이 발생하면서 시민 불안이 확산되고 있습니다.
- 위치: 부산 사상구 학장동 도시철도 5호선 공사장 인근
- 시간: 2025년 4월 13일 오후 2시경
- 규모: 가로 5m × 세로 3m × 깊이 4.5m
- 피해: 도로 일부 붕괴, 인명 피해는 없음
- 원인 추정: 지하수 유실 및 지반 침하
부산시는 사고 직후 해당 공사구간에 즉각적인 공사 중지 명령을 내리고, 국토안전관리원과 합동으로 사고 원인 규명 및 정밀 조사를 착수했습니다. 전문가들은 지하 터널 굴착에 따른 지반 약화 또는 지하수 유출 가능성을 주요 원인으로 보고 있으며, 일부 시민들 사이에서는 공사 부실 의혹과 함께 주변 도로 안전성에 대한 우려도 커지고 있는 상황입니다. 부산시는 사고 지점에 대한 보강 공법 검토와 함께, 인근 공사 구간 전반에 대해 지반 안정성 재점검을 실시할 방침입니다.
마무리
지하 공간의 안전은 눈에 보이지 않지만 시민 일상에 큰 영향을 미칩니다. 연이은 싱크홀 사고는 도심 지하 공사와 노후 인프라에 대한 철저한 점검과 대응 체계 강화의 필요성을 보여줍니다. 서울과 부산 모두 사고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실질적인 예방 대책이 마련되길 기대합니다.
함께 보면 좋은 글
광명 신안산선 터널 붕괴사고, 무엇이 문제였나? (원인 위치 시공사 구조상황까지)
광명 신안산선 붕괴 사고, 또다시 터진 대형 공사장 참사신안산선 공사 중 발생한 광명 지하터널 붕괴 사고의 위치, 원인, 구조상황, 대피 현황, 시공사 정보와 사고 경과까지 자세히 정리합니다
jintti.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