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공항 자기부상열차, 2025년 10월 17일 무료 ‘관광·체험열차’로 재운행 시작
화~일 10:00~17:00, 약 35분 간격·일 24회 운행 / 월요일 운휴 · 제1여객터미널 교통센터 2층 승강장에서 탑승
운행시간표·요금·노선도·탑승위치·배차간격까지 최신 정보로 정리했습니다.
- 운영형태: 대중교통 → 관광·체험형 궤도시설 전환 (전 구간 무료)
- 운행시간: 10:00~17:00 / 화~일 운행, 월요일 운휴
- 배차간격·횟수: 약 35분 간격, 일 24회
- 구간: 제1여객터미널 ↔ 용유 (총 6개 역, 6.1km)
- 탑승위치: 제1여객터미널 교통센터 2층 자기부상열차 승강장
인천공항 자기부상열차란?
인천공항 자기부상열차는 바퀴 대신 전자석으로 선로 위를 떠서 주행하는 EMS(전자기부상) 방식의 도시형 마그레브입니다. 2016년 개통 후 2022년 7월 운행이 중단되었다가, 2025년 10월 17일부터 관광·체험형 무료 열차로 재운행을 시작했습니다.
공항 이용객에게 저소음·저진동의 부드러운 승차감을 제공하며, 공항 내부·주변을 잇는 체험 콘텐츠로 재정의되었습니다.
자기부상열차 운행 정보
- 운행일: 화요일 ~ 일요일 (월요일·설/추석 당일 운휴 가능)
- 운행시간: 10:00 ~ 17:00
- 배차간격: 약 35분 간격
- 일일 운행: 24회
- 요금: 전 구간 무료
인천공항 자기부상열차 운행 시간표
인천공항 자기부상열차는 화요일부터 일요일까지 하루 24회 왕복 운행됩니다.
아래는 용유역 → 인천공항1터미널역(상행)과 인천공항1터미널역 → 용유역(하행) 기준의 최신 시간표입니다.
운행 간격은 약 35분이며, 월요일 및 명절 당일은 운휴합니다.
용유역 → 인천공항1터미널역 (상행)
NO | 용유역 | 워터파크역 | 파라다이스시티역 | 합동청사역 | 장기주차장역 | 인천공항1터미널역 |
---|---|---|---|---|---|---|
1 | 10:00 | 10:02 | 10:08 | 10:10 | 10:11 | 10:14(도착) |
2 | 10:35 | 10:37 | 10:43 | 10:45 | 10:46 | 10:49(도착) |
3 | 11:10 | 11:12 | 11:18 | 11:20 | 11:21 | 11:24(도착) |
4 | 11:45 | 11:47 | 11:53 | 11:55 | 11:56 | 11:59(도착) |
5 | 12:20 | 12:22 | 12:28 | 12:30 | 12:31 | 12:34(도착) |
6 | 12:55 | 12:57 | 13:03 | 13:05 | 13:06 | 13:09(도착) |
7 | 13:30 | 13:32 | 13:38 | 13:40 | 13:41 | 13:44(도착) |
8 | 14:05 | 14:07 | 14:13 | 14:15 | 14:16 | 14:19(도착) |
9 | 14:40 | 14:42 | 14:48 | 14:50 | 14:51 | 14:54(도착) |
10 | 15:15 | 15:17 | 15:23 | 15:25 | 15:26 | 15:29(도착) |
11 | 15:50 | 15:52 | 15:58 | 16:00 | 16:01 | 16:04(도착) |
12 | 16:25 | 16:27 | 16:33 | 16:35 | 16:36 | 16:39(도착) |
▲ 용유역 → 인천공항1터미널역 상행 (약 14분 소요)
인천공항1터미널역 → 용유역 (하행)
NO | 인천공항1터미널역 | 장기주차장역 | 합동청사역 | 파라다이스시티역 | 워터파크역 | 용유역 |
---|---|---|---|---|---|---|
1 | 10:15 | 10:17 | 10:19 | 10:20 | 10:26 | 10:29(도착) |
2 | 10:50 | 10:52 | 10:54 | 10:55 | 11:01 | 11:04(도착) |
3 | 11:25 | 11:27 | 11:29 | 11:30 | 11:36 | 11:39(도착) |
4 | 12:00 | 12:02 | 12:04 | 12:05 | 12:11 | 12:14(도착) |
5 | 12:35 | 12:37 | 12:39 | 12:40 | 12:46 | 12:49(도착) |
6 | 13:10 | 13:12 | 13:14 | 13:15 | 13:21 | 13:24(도착) |
7 | 13:45 | 13:47 | 13:49 | 13:50 | 13:56 | 13:59(도착) |
8 | 14:20 | 14:22 | 14:24 | 14:25 | 14:31 | 14:34(도착) |
9 | 14:55 | 14:57 | 14:59 | 15:00 | 15:06 | 15:09(도착) |
10 | 15:30 | 15:32 | 15:34 | 15:35 | 15:41 | 15:44(도착) |
11 | 16:05 | 16:07 | 16:09 | 16:10 | 16:16 | 16:19(도착) |
12 | 16:40 | 16:42 | 16:44 | 16:45 | 16:51 | 16:54(도착) |
▲ 인천공항1터미널역 → 용유역 하행 (약 14~15분 소요)
- 첫차: 10:00 (용유 출발) / 10:15 (인천공항1터미널 출발)
- 막차: 16:25 (용유 출발) / 16:40 (인천공항1터미널 출발)
- 총 운행횟수: 각 방향 12회 (왕복 24회)
- 총 소요시간: 약 14~15분
※ 실제 운행은 현장 공지 및 인천공항공사 안내에 따라 일부 변경될 수 있습니다.
이전과 달라진 점 — 대중교통에서 관광형 궤도시설로
2016년 개통 당시 인천공항 자기부상철도는 국내 최초의 도시형 자기부상열차(궤도운송시설)로, 공항 이용객 이동을 돕는 ‘실제 교통수단’의 역할을 했습니다. 그러나 낮은 이용률과 높은 유지비로 2022년 7월 운행이 중단되었죠.
2025년 10월 재운행된 현재는 목적이 완전히 달라졌습니다. 대중교통형 → 관광·체험형으로 전환되어, 누구나 무료로 탑승할 수 있는 공항 체험 콘텐츠로 운영되고 있습니다. 기존의 도시철도 체계가 아닌 공항이동지원형 궤도시설로 분류되며, 운임·요금이 완전 무료로 변경된 것이 가장 큰 특징입니다.
- 운행 목적: 교통수단 → 관광·체험 콘텐츠
- 요금체계: 유료(2016~2022) → 무료(2025 재운행 이후)
- 운행시간: 기존 13시간 → 7시간(10:00~17:00)
- 배차간격: 약 15분 → 35분
운행 노선도 & 역(6개 역) · 구간 길이
자기부상열차 현재 운행 구간은 6.1km이며, 제1여객터미널에서 용유까지 총 6개 역으로 구성됩니다.
역번호 | 역명(한글) | 영문 | 특징/연결 |
---|---|---|---|
M01 | 인천공항 제1여객터미널 | Incheon Int’l Airport T1 | AREX 환승 거점 / 교통센터 2층 |
M02 | 장기주차장 | Long Term Parking | 공항 장기주차장 접근 |
M03 | 합동청사 | Administration Complex | 공항 행정단지 |
M04 | 파라다이스시티 | Paradise City | 호텔·엔터테인먼트 복합 |
M05 | 워터파크 | Water Park | 레저·휴양 |
M06 | 용유 | Yongyu | 영종도 서측·레저 접근 |
※ 역명·구간 구성은 공항 안내/홍보자료 기준. 실제 운전시간·정차 패턴은 현장 공지 우선.
자기부상열차의 기술 구조와 차량 제원
인천공항 자기부상열차는 EMS(Electro-Magnetic Suspension) 방식으로, 전자석의 힘으로 궤도 위 약 8mm 떠서 주행합니다. 바퀴와 레일의 마찰이 없어 소음과 진동이 현저히 적고, 이산화탄소 배출이 없는 친환경 교통수단입니다.
- 차량 편성: 2량 1편성
- 1량 크기: 길이 12m / 폭 2.7m / 높이 3.475m
- 최대 수용인원: 약 186명
- 운행 최고 속도: 시속 40km 이하
※ 바퀴가 없는 자기부상 주행 특성상 승차감이 매우 부드럽고 정차 시에도 소음이 거의 없습니다.
자기부상열차 탑승 위치 · 찾아가는 방법
- 출발역: 인천공항 제1여객터미널 교통센터 2층 (자기부상열차 승강장)
- 공항철도 이용(AREX 연계): 공항철도 인천공항1터미널역 하차 → 인천공항 제1여객터미널 교통센터 2층에서 자기부상열차 인천공항1터미널역으로 이동 → 자기부상열차 탑승
- 탑승 절차: 요금 결제 없이 선착순 이용 (혼잡 시 대기 가능)
인천공항 자기부상열차 노선 및 향후 확장 계획
현재 자기부상열차는 제1여객터미널 ~ 용유역 구간 6.1km, 6개 역으로 운영됩니다. 인천국제공항공사와 인천시는 장기적으로 노선을 확장해 국제업무지구(IBC-II)·운북동·하늘도시·파라다이스시티를 순환하는 노선으로 발전시키는 계획을 검토 중입니다.
장래 2단계(9.7km), 3단계(37.4km) 확장 시, 송도국제도시 및 미단시티까지 연결되어 인천공항 관광벨트를 완성하는 청사진도 제시되었습니다. 아직 구체적인 완공 시점은 공개되지 않았지만, 관광·레저 중심 복합노선으로 발전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이용 팁 (가족/여행자 필수 체크)
- 혼잡 피하기: 오전 첫차(10:00) 전 도착하면 여유로운 탑승 가능
- 좌석 팁: 창가 쪽에서 영종도 조망·터널 구간 촬영 추천
- 운휴 주의: 월요일·명절 당일 운휴 가능 → 방문 전 공식 안내 확인
- 코스 제안: T1 ↔ 파라다이스시티 왕복 체험 → AREX 환승·식사/카페
자주 묻는 질문(FAQ)
Q. 정말 무료인가요?
네. 현재는 관광·체험 목적으로 전 구간 무료입니다. (운영 정책은 공지에 따라 변동 가능)
Q. 짐이 많아도 탈 수 있나요?
기내 휴대 수하물 수준은 무난하나, 혼잡 시간에는 대기/좌석 부족이 있을 수 있습니다.
Q. 제2터미널에서도 탈 수 있나요?
출발역은 제1여객터미널입니다. T2 이용 시 셔틀/AREX로 T1 이동 후 탑승하세요.
Q. 날씨나 정비로 중단될 수 있나요?
특정 상황(정비, 안전점검 등)에는 탄력 운행될 수 있으니 공식 안내를 확인하세요.
운영 효율성과 관광형 전환의 배경
인천공항 자기부상열차는 총 사업비 약 3,150억 원이 투입된 대형 국책 프로젝트였습니다. 그러나 일일 이용객이 평균 3천 명 수준에 머물며, 2016년 이후 매년 약 60억 원의 적자가 발생했습니다.
이러한 구조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인천시와 인천국제공항공사는 2025년부터 ‘체험형 궤도시설’로 방향을 전환해 무료 관광열차로 재출범시킨 것입니다.
단순한 교통수단이 아닌, 공항 방문객 유입과 지역 관광 활성화를 위한 콘텐츠로 재정의된 셈입니다. 이는 국내 궤도교통 중에서도 드문 ‘공항 관광형 교통 인프라 전환 사례’로 평가받습니다.
자기부상열차 vs 공항철도, 무엇이 다를까?
구분 | 자기부상열차 | 공항철도(AREX) |
---|---|---|
이용 목적 | 관광·체험형 궤도시설 | 공항 간 이동 중심 교통수단 |
요금 | 무료 | 유료(성인 기준 3,850원) |
운행시간 | 10:00~17:00 (월요일 휴무) | 05:00~24:00 |
주행거리 | 6.1km / 6개역 | 공항~서울역 63.8km |
※ 자기부상열차는 이동 효율보다 체험성과 관광성이 중심인 ‘공항 콘텐츠형 열차’입니다.
인천공항 자기부상열차는 이제 ‘빠른 이동’보다 ‘즐기는 체험’에 초점을 맞춘 공항 관광 인프라입니다. 화~일 10:00~17:00 전 구간 무료이니, 공항 일정에 30~60분만 더해 미래형 교통수단의 부드러운 승차감을 경험해 보세요. 방문 전 운휴 요일(월)과 운행 시간대를 확인하면 실패 없는 일정이 됩니다.
함께 보면 좋은 글
넷플릭스 영화 굿뉴스 실화|요도호 납치 사건·설경구·홍경·류승범·평점·출연진·줄거리·변
넷플릭스 신작 한국영화 —실화 모티프를 블랙 코미디로 비튼 정치 풍자 스릴러2025년 10월 17일 넷플릭스 글로벌 공개. 1970년대 항공기 납치 실화를 모티프로, ‘가짜 평양’이라는 기상천외한
jintti.com
‘죽고 싶지만 떡볶이는 먹고 싶어’ 백세희 작가 사망 별세|향년 35세·뇌사 이유·프로필·사
『죽고 싶지만 떡볶이는 먹고 싶어』 백세희 작가, 향년 35세로 별세 — 뇌사 장기기증으로 5명 살려베스트셀러 『죽고 싶지만 떡볶이는 먹고 싶어』의 저자 백세희 작가가 2025년 10월 16일, 국민
jintti.com
토지거래허가구역이란? 매매·해제·확인방법 총정리|서울·경기 실거주 의무·대출규제·허가
서울 전역·경기 12개 지역 토지거래허가구역 지정! 토지거래허가구역이란 무엇인지 부터 서울·경기 지정 지역, 실거주 2년 의무, 대출규제(LTV 40%), 허가신청 절차, 매매·해제·확인방법, 위반 시
jintti.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