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2차 민생회복 소비쿠폰 지급 기준|하위 90% 대상·건강보험 소득분위표·금융소득 컷오프·사용처 총정리

by 진띠 2025. 9. 3.
반응형

 

2차 민생회복 소비쿠폰

2차 민생회복 소비쿠폰, 하위 90% 국민에게 1인당 10만 원 지급! (2025.9.22 시작)

행안부 공식안내 기준으로 지급일정·신청방법·사용처·마감기한(11/30)까지 한 번에 정리합니다. 상위 10% 제외 및 고액자산가 컷오프(과표 12억·금융소득 2천만 원) 검토 소식도 반영했습니다.

 

2025년 2차 민생회복 소비쿠폰(1인당 10만원) 지급 기준을 정리. 하위 90% 건강보험료 소즉분위기준표, 고액 자산가·금융소득 컷오프, 생활협동조합·군 장병 사용처까지 최신 정보로 총정리!!

2차 민생회복 소비쿠폰

  • 지급대상: 소득 상위 10% 제외 → 하위 90% 국민 대상 (가구별 건강보험료 기준 적용, 1인가구·맞벌이 특례 반영)
  • 지급금액: 1인당 10만 원 (2차 추가 지급)
  • 일정: 9/22(월)~10/31(금) 지급 · 11/30(일)까지 사용
  • 신청방법: 온라인(카드사/지역사랑상품권 앱·홈페이지·콜센터·ARS), 오프라인(제휴은행·읍면동 주민센터)
  • 사용처: 지역사랑상품권 가맹점 / 신용·체크·선불카드 결제 시 연매출 30억 원 이하 매장
  • 확대방안: 면 지역 하나로마트·로컬푸드 직매장, 군 장병 복무지 인근 사용 등 사용처·편의성 확대

2차 소비쿠폰은 누가 받나요? (자격 기준)

2차 민생회복 소비쿠폰은 소득 상위 10% 제외 원칙으로 하위 90% 국민에게 1인당 10만 원을 지급합니다.

2차 민생회복 소비쿠폰

고액자산가 컷오프(과세표준 12억·금융소득 2천만 원) 도입 검토가 진행 중이며, 1인가구·맞벌이·다소득원 가구는 특례를 적용해 역차별을 완화합니다.

고액 자산가 컷오프(검토안)
재산세 과세표준 12억 원 초과 또는 금융소득(이자·배당 등) 합계 2천만 원 이상이면 지급 대상에서 제외하는 방안이 검토 중입니다.
• 기본 선별은 가구별 건강보험료 기준(소득 하위 90%)이며, 1인가구·맞벌이·다소득원 가구특례가 적용될 수 있습니다.
• 위 기준은 행안부 최종 공지에서 확정됩니다(변동 가능).

2차 소비쿠폰 (신청·지급 일정/방법)

지급기간: 2025년 9월 22일(월) ~ 10월 31일(금)
사용기한: 2025년 11월 30일(일)까지 (이후 미사용분 자동 소멸)

① 2차 소비쿠폰은 어디서 신청하나요?

  • 온라인: 카드사·지역사랑상품권 홈페이지/앱/콜센터/ARS에서 본인인증 후 신청
  • 오프라인: 제휴은행 영업점 또는 읍·면·동 주민센터 방문 신청

② 어떤 방식으로 받나요?

  • 카드형: 신용/체크/선불카드로 지급(청구할인·포인트·선불충전 등은 카드사별 운영)
  • 상품권형: 지역사랑상품권(모바일/지류 등 지자체 안내에 따름)

③ 사용 마감과 정산

  • 사용기한: 2025.11.30(일)까지·기한 경과분은 자동 소멸
  • 결제처: 지역사랑상품권 가맹점, 또는 연매출 30억 원 이하 일반 가맹점(카드형)에서 사용

유의사항

  • 2차 소비쿠폰 지급 대상은 가구별 건강보험료 기준(상위 10% 제외)이며, 맞벌이·1인가구 특례가 적용될 수 있음
  • 백화점·대형마트 등 일부 업종/대형 가맹점은 제외될 수 있음(지자체·카드사 공지 우선)
  • 정책 세부 기준은 변동 가능 → 신청 직전 정부·지자체·카드사 공지 확인 필수

2차 민생회복 소비쿠폰

건강보험료 소득분위표 기준(하위 90% 추정)

2차 소비쿠폰은 가구별 건강보험료 합산액으로 대상이 선별됩니다. 아래 표는 2025년 자료 기반 참고용 추정이며, 정부 최종 공고가 기준입니다. 맞벌이·1인가구 특례로 경계값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2차 민생회복 소비쿠폰

가구원 수 직장가입자 (월) 지역가입자 (월) 혼합 (월) 비고
1인 약 85,040원 약 19,780원 - 하위 90% 추정치
2인 약 110,461~139,817원 약 50,654~70,053원 약 111,677~141,260원 자료 출처별 범위 표기
3인 약 141,601~179,415원 약 98,703~121,707원 약 142,342~181,663원
4인 약 173,332~219,196원 약 128,505~154,802원 약 175,359~222,471원
5인 약 203,267~252,203원 약 164,211~196,416원 약 206,304~256,716원
6인 약 233,952~288,617원 약 201,458~243,019원 약 237,913~295,134원
알려두세요
• 위 금액은 복수 출처를 교차한 참고용 범위값으로, 정부 최종 공고가 기준입니다.
맞벌이·1인가구 특례 적용 시 동일 가구원 수라도 인정 범위가 달라질 수 있습니다.
혼합은 직장+지역 합산 보험료 기준입니다.
  • 가구원 수/가입유형 확인 → 최근 고지서 또는 NHIS 앱에서 월 보험료 확인
  • 하위 90% 범위 이하라면 유력 대상 (단, 상위 10% 컷·자산 컷은 별도 적용 가능)
  • 신청 직전 카드사/지자체 공지로 최종 수치 재확인

 

2차 소비쿠폰은 어디서 쓰나요? (사용처/제외 업종)

기본 원칙: 지역사랑상품권 가맹점 또는 연매출 30억 원 이하 일반 가맹점(카드형)에서 사용 가능합니다. 백화점·대형마트·유흥업종 등 일부 업종은 제외됩니다(지자체/카드사 공지 우선).

2차 민생회복 소비쿠폰
2차 민생회복 소비쿠폰

이번 2차 소비쿠폰에서 달라진 점(핵심)

  • 생활협동조합(생협) 사용 확대: 지역 내 생협 매장(예: 지역 생협 조합 매장 등)까지 사용처를 확대하는 방안이 추진됩니다.
    – 결제 방식은 지자체·카드사별로 상이할 수 있으며, 생협의 가맹 등록회원제 운영 요건에 따라 조합원/비조합원 이용 범위가 달라질 수 있습니다.
  • 군 장병 편의 확대: 장병이 복무지 인근 상권에서 쉽게 쓰도록 선불카드 형태 지급 방안이 검토 중입니다.
    – 지급 주체·충전 방식·영내/영외 사용 범위 등은 국방부·행안부 지침에 따라 부대별 공지로 확정 예정.
  • 지역 특수 가맹점: 면 지역 하나로마트·로컬푸드 직매장농어촌 상권에서도 사용 편의가 확대됩니다(지자체 고시 반영).
  • 상품권형: 지역사랑상품권 가맹점에서 사용(모바일/지류 등은 지자체 안내에 따름)
  • 카드형: 신용/체크/선불카드 결제 시 연매출 30억 원 이하 일반 가맹점에서 사용
  • 제외 업종: 대형마트·백화점·유흥업종 등(지자체·카드사 공지 확인)

2차 민생회복 소비쿠폰

알아두세요
• 생협·하나로마트·군 장병 선불카드 관련 세부 적용 범위는 정부 최종 공지에서 확정됩니다.
• 지역별로 가맹/제외 업종과 결제 조건이 다를 수 있으므로, 지자체·카드사 공지를 꼭 확인하세요.

자주 묻는 질문(FAQ)

Q. 상위 10% 제외 기준은 정확히 뭔가요?
A. 가구별 건강보험료 기준으로 선별하며, 고액자산가 컷오프(과표 12억·금융소득 2천만 원) 도입이 검토 중입니다. 최종 기준은 정부 공지로 확정됩니다.

 

Q. 카드사별 방식(청구할인·포인트 등)이 다른가요?
A. 예. 카드사 운영정책에 따라 상이할 수 있습니다. 안내문에서 예시(승인금액 대비 10% 청구할인 등)를 확인하세요.

 

Q. 백화점·대형마트도 되나요?
A. 원칙적으로 연매출 30억 원 초과 매장 및 일부 업종은 제외됩니다. 지역사랑상품권은 지자체별 가맹점 정책을 따릅니다.

2차 민생회복 소비쿠폰2차 민생회복 소비쿠폰

 

Q. 사용기한이 지나면?
A. 미사용분은 자동 소멸됩니다. 사용 마감 2025.11.30(일).

 

Q.금융소득(이자·배당)이 연간 2천만 원을 넘는데, 대상에서 제외인가요?
A. 행안부가 검토 중인 컷오프(재산세 과세표준 12억 초과 또는 금융소득 2천만 원 이상)에 해당하면 지급 대상에서 제외될 수 있습니다. 다만 최종 기준은 정부 공지로 확정됩니다.

 

Q. 생활협동조합(생협) 매장에서도 바로 쓸 수 있나요?
A. 2차에서는 생협 사용 확대가 추진되고 있습니다. 다만 생협의 가맹 등록 여부, 회원제 운영 기준, 지자체·카드사 결제 방식에 따라 이용 범위가 달라질 수 있으니 해당 지역 공지를 확인해 주세요.

포인트 꿀팁

  • 가구 특성(1인가구·맞벌이·다소득원) 특례 반영 → 건보료 기준선만 보지 말고 정부 확정공지 확인
  • 군 장병은 복무지 인근 사용 편의 확대. 복무지 주민센터/부대 공지 참고
  • 면 지역 하나로마트·로컬푸드 직매장 포함 → 농어촌 거주자 편의↑
  • 카드사 앱 알림 켜두기(청구할인/포인트 등 누락 예방)
맺음말. 2차 소비쿠폰은 ‘폭넓은 대상 + 지역 상권 중심’ 기조를 유지하면서 사용 편의를 강화했습니다. 최종 세부기준·지급절차는 정부 공지에 따르니, 안내 링크를 즐겨찾기해 두고 확인하세요. 도움이 되셨다면 공유도 큰 힘이 됩니다!
ⓒ 작성자, 무단 도용·재편집 금지

함께 보면 좋은 글

 

2025 상생페이백 30만원 신청방법·대상·예상금액 조회|환급 조건·지급일·환수절차·상생소비

9~11월 카드 소비 증가분 20% 페이백, 월 10만원 · 총 30만원 환급작년(2024년) 월평균보다 2025년 9~11월 각 월의 카드 소비가 늘면 증가분의 20%를 디지털 온누리상품권으로 환급받는 제도입니다. 신청

jintti.com

 

본인부담상한제 초과 의료비 환급 신청|2025 건강보험 환급금·환급대상·소득분위별 상한액·신

2025년 8월 28일부터 ‘본인부담상한 초과 의료비’ 환급 시작 — 2024년 진료비 기준 213.6만 명·총 2.792조원, 1인당 평균 약 131만원비급여를 제외한 연간 의료비 본인부담금이 개인별 상한액을 넘

jintti.com

 

2025 민생회복지원금 사용처 안내|올리브영·다이소·편의점 매장 리스트 검색 방법 & 수원 매장

2025 민생회복지원금 사용처를 한눈에 확인하세요!올리브영, 다이소, 편의점 등 주요 가맹점 사용 가능 여부와 매장 검색 방법을 정리했습니다.특히 올리브영, 다이소 수원 지역 사용 가능 매장

jintti.com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