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말·공휴일 기차표 환불 수수료 인상 소식, 미리 알아두세요!
2025년 하반기부터 주말·공휴일에 기차표를 환불하면 수수료가 크게 올라갑니다. 급한 일정 변경이 있을 경우 부담이 커질 수 있으니, 변경된 규정을 꼭 체크해 두세요!
주말·공휴일 KTX·SRT 환불 수수료, 왜 인상되나요?
2025년 7월부터, 주말과 공휴일에 KTX와 SRT 기차표를 환불할 경우 적용되는 위약금이 기존보다 더 높아집니다. 이는 "출발 직전 대량 환불"을 방지하고, 좌석 운영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조치입니다.
적용 시기와 주의할 점
국토교통부와 한국철도공사(코레일), 수서고속철도(SRT) 운영사 에스알(SR)은 여객 운송 약관을 개정하여, 주말·공휴일 기차표 환불 수수료 및 부정 승차 부가 운임 기준을 강화한다고 밝혔습니다.
새로운 위약금 기준은 2025년 5월 28일부터 적용되며, 부정 승차 부가 운임 기준은 2025년 10월 1일부터 적용됩니다. 특히, 주말에는 금요일도 포함되어 금·토·일요일 및 공휴일 운행 열차에 모두 강화된 규정이 적용됩니다.
왜 이번 개편이 필요했을까?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기존에는 환불 수수료가 낮게 책정되어 일부 승객이 좌석을 다수 예약한 뒤 출발 직전에 대거 취소하는 문제가 반복됐습니다. 이로 인해 실제 열차 이용을 원하는 승객들이 좌석을 구하지 못하는 상황이 자주 발생했고, 결과적으로 좌석이 비어버리는 비효율이 지속됐습니다.
개편된 주말·공휴일 위약금 체계
2025년 5월 28일부터 주말(금요일 포함)과 공휴일 열차를 환불할 경우 적용되는 위약금 체계가 다음과 같이 변경됩니다. 열차 출발 시각을 기준으로,
- 이틀 전까지: 400원 고정 수수료
- 하루 전: 영수 금액의 5%
- 출발 당일 3시간 전까지: 영수 금액의 10%
- 출발 당일 3시간 전부터 출발 직전까지: 영수 금액의 20%
- 출발 후 20분까지: 영수 금액의 30%
이는 기존 기준인, 하루 전까지 400원, 출발 당일 3시간 전까지 5%, 3시간 전부터 출발 직전까지 10%, 출발 후 20분까지 15% 부과하던 것에 비해 약 2배 수준으로 위약금이 인상된 것입니다. 따라서 주말과 공휴일에는 환불 시기가 늦어질수록 부담이 크게 커지므로 사전 환불 계획이 더욱 중요해졌습니다.
구분 | 1개월~2일 전까지 | 출발 1일 전까지 | 출발 당일 3시간 전까지 |
출발 당일 3시간 전 이후 |
출발 후 20분까지 |
출발 후 20분~60분 |
출발 후 60분 이후 |
---|---|---|---|---|---|---|---|
주중 | 면제 | 면제 | 면제 | 5% | 15% | 40% | 70% |
주말·공휴일(변경) | 400원 | 5% | 10% | 20% | 30% | 40% | 70% |
부정 승차에 대한 부가 운임 기준 강화
2025년 10월 1일부터는 부정 승차 시 부과되는 추가 운임 기준도 크게 강화됩니다. 현재는 승차권 없이 열차를 이용할 경우 기준 운임의 50%만 추가로 납부하면 되었지만, 앞으로는 기준 운임의 100%를 추가로 납부해야 합니다.
예시: 서울∼부산 KTX를 승차권 없이 이용할 경우, 기존에는 기준 운임 59,800원에 50%를 더해 총 89,700원을 내야 했지만, 개정 이후에는 119,600원을 내야 합니다.
또한, 기존에는 단거리 구간 승차권만 구매한 후 열차에 탑승해 장거리 구간으로 연장하는 경우 추가 부가 운임이 부과되지 않았지만, 앞으로는 이러한 경우에도 추가 부가 운임이 부과됩니다. 이는 부정 승차를 막고 차량 내 혼잡도를 완화하기 위한 조치입니다.
구분 | 기준 운임 | 개정 전 (운임 + 50%) |
개정 후 (운임 + 100%) |
비고 |
---|---|---|---|---|
서울-부산 | 59,800원 | 89,700원 | 119,600원 | - |
용산-광주송정 | 46,800원 | 70,200원 | 93,600원 | - |
서울-부산 (구간 연장) |
59,800원 | 59,800원 (부가 운임 미부과) |
96,100원 | 대전-부산 구간 부가 운임 징수 |
맺음말
편리한 이동을 위해 이용하는 고속철도, 그러나 새롭게 강화된 환불·부정 승차 규정으로 인해 주말과 공휴일에는 더욱 신중한 예약이 필요해졌습니다. 여행이나 귀성·귀경길 계획이 있다면 꼭 사전에 일정을 확정하고 기차표를 예매하시길 권합니다.
함께 보면 좋은 글
SRT란? 기차표 예매 방법·시간표·노선·취소수수료·입석 예매·요금·화장실 위치 까지 한 번에
📚 이 글의 목차1. SRT란 무엇인가요?2. SRT 예매 방법과 좌석 종류3. SRT 시간표와 요금 확인 방법4. SRT 승차권 변경·취소 수수료 정리5. 자주 묻는 질문 (FAQ)6. 마무리 요약: SRT, 이렇게 이용하세요!SR
jintti.com
SRT 할인 혜택 총정리! 조조·할인카드·임산부·경로우대·다자녀·국가 유공자 할인까지 똑똑하
📚 이 글의 목차1. SRT 기본 할인 종류 총정리2. 조조·심야 시간대 할인3. 카드사·제휴 할인 총정리4. 예매 시 주의사항과 할인 적용 팁5. 자주 묻는 질문 (FAQ)6. 마무리 요약: SRT 할인, 똑똑하게 챙
jintti.com